데이터에 대한 1일 1로그, 데이터의 단위에 대한 이야기이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보존한다.메모리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회로는 전류를 흘려보내고 끊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피지컬한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는 로지컬하게 관리한다.
데이터의 최소단위
데이터의 최소단위는 비트(bit)다. 비트는 단 2가지만을 관리한다. 0 과 1 이다. 이진수다. 전기 회로로는 On 과 Off 이다. 이는 음과 양을 나타낸다.
이진수인 비트를 모아 문자를 표현했다. 영문자는 비트 8개를 모아서 해결했다. 우리는 모아진 8개를 바이트(Byte)라고 한다.
시대는 바뀌고, 세상은 넓어졌다. 일본이 사용하고, 중국이 한국이, 동남아시아가 사용했다. 바이트로는 도저히 각 나라의 문자를 표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비트 8개를 한 쌍 더 붙였다. 즉 비트 16개가 되었다. 이걸 더블바이트(Double Byte) 라고 부른다. 이를 다르게는 유니코드라고도 한다.
- 비트(bit): 최소단위 , 0과 1의 값
- 바이트(Bytes): 8 비트
- 더블바이트(Double Byte): 2 Bytes, 16 bits
비트의 온과 오프 값을 활용한 아주 단순한 전자회로가 있다. 7세그먼트(7 Segment)라고 부른다.
7세그먼트(7 Segment)
7개의 선으로 숫자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장치이다.
FND (Flexible Numeric Display)라고도 불린다. 작고 단순한 모습이다. 그래서 손목의 시계, 벽에 거는 전자시계, 게이지, 전자회로의 내부수치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각 선은 주로 LED로 구성한다. 7개 중에 일부틀 캬고 끄는 방식으로 숫자나 문자를 보여준다. 여기 끄고 켜는 방식이 비트의 2진법과 같다. 0과 1의 값의 교차이다.
모든 LED 7가 켜지면 8이 되고 테두리만 켜지면 0이 된다. 한쪽 라인만 켜지면 1이 된다. 단순하지만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아나콘다(Anaconda) 삭제- 삭제 후 리부팅, 설치 위치, Uninstall Anaconda (0) | 2023.11.15 |
---|---|
[데이터 1일 1로그] 데이터 조작하기 - SQL, 쿼리, Select,Update, Delete, Insert (0) | 2023.11.11 |
귀도 반 로섬, 파이썬을 만든 사람, 파이썬을 왜 만들었나 (0) | 2023.11.09 |
매치업(MatchUp) 공기업, 교육기관, 학습자와 함께 직무역량 향상 과정-확인해보세요 (0) | 2023.11.03 |
고려사이버대, 빅데이터 분야 실무전문가 심화과정 교육생 모집 - 조회 하고 지원하기 (0) | 2023.11.01 |